카테고리 없음

기준금리 뜻과 한국기준금리

스카이파랑 2022. 11. 10. 23:32
반응형


기준금리란?

경제 자금을 조달하거나 운용할 때 적용하는 금리의 기준이 되는 금리. 한 나라의 중앙은행에서 금융 정세의 변화에 따라 일정 기간마다 결정하며, 금융 시장에서 각종 금리를 지배한다.
경제 금리 체계의 기준이 되는 중심 금리. 매달 중앙은행의 금융 통화 위원회에서 결정하는 것으로, 한 나라의 금리를 대표하고 금융 정세의 변화에 따라 표준적으로 변동한다.
(출처: 국어사전)

기준금리는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이 물가와 경기변동에 따라 시중에 풀린 돈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인위적으로 결정하는 금리다. 한은이 기준금리를 인상하면 시중은행의 금리도 함께 오르고, 기준금리를 인하하면 시중은행의 금리도 덩달아 내린다. 기준금리가 시장금리의 나침반 구실을 하는 것이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가 매월 두 번째 목요일에 기준금리를 정한다. 기준금리를 내리면 시중에 돈이 풀려 가계나 기업은 투자처를 찾게 되고, 또 은행 차입비용이 내려가 소비·투자가 활성화돼 침체된 경기가 회복되고 물가가 상승한다. 기준금리를 올리면 반대로 시중에 돈이 마르고, 은행 차입비용이 올라가 과도한 투자나 물가상승이 억제돼 과열된 경기가 진정되고 물가가 하락한다.
(출처: 다음백과)


미국 기준금리는 2022.11.3(한국기준) 4.00%로
최근 4연속 자이언트 스탭을 밟으며
2008년 이후 최대치다.
이에 따라 한국도 11월24일 올해 마지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를 앞두고 한국 기준금리는
어떻게 될지 숨죽이고 보고있는 상황이다.
현재 한국은 3%로 미국과 금리가 1% 격차가 있기에
지켜봐야겠다.


한국 기준금리
출처: 한국은행
출처: 한국은행

한국은행 기준금리 추이를 보면 2020년에는 1%도 되지않았다. 이런 시절도 있었다니! 치솟는 그래프의 상승선을 보면 답답하고 한숨만 나오지만 이럴 때가 있으면 저럴 때도 있지않을까. 일단 조금 시간을 갖고 봐보자.